피임약 장기복용 장단점 알아보자
자신의 신체를 지키기 위해서도 피임 약을 쓰고 싶다는 여성이 적지 않지만 부작용도 궁금하기도합니다. 애초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하는 것이 잘 알려지지 않았네요. 피임약을 먹는 것이 일반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막연하게 불안감을 가지고 계신 분도 있을 것입니다. 피임약을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장점와 단점을 확실히 이해하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피임뿐만 아니라 여성의 몸에 어떤 이점이 있는지 알기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올바른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 대부분! 피임약은 어떤 약인지 자세히 알고 싶어! 피임이라고 하면 "경구피임약"이라는 이름에서 "피임"만이 목적인 약이라고 생각되기 쉽지만 이외에도 여성 몸에 여러 장점이 있습니다. 월경의 상태가 없거나 호르몬 밸런스의 흐트러짐으로 인한 피부 거칠어짐 등 여성 특유의 증상은 필로 개선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우선은 여성호르몬에 대해 먹어보자! 여성 호르몬이란, 에스트로겐(난포호르몬), 프로게스테론(황체호르몬)을 말하며 배란하기 위해 에스트로겐이, 임신을 유지하기 위해 프로게스테론이 분비됩니다. 에스트로겐이 분비됨으로써 자궁내막이 두꺼워져 임신을 준비합니다. 난포가 성숙해져 가면서 배란됩니다. 이 알이 수정해서 자궁내막에 착상하면 "임신했다"는 말이 되네요.그리고 프로게스테론이 분비되어, 임신을 유지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배란 후에 수정→착상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정란을 위한 침대는 필요가 없어지므로 자궁 내막이 점점 벗겨져 경혈로서 밖으로 나갑니다. 이것이 월경(생리) 입니다. 대략이지만,배란까지의 여포기가 14일 간, 배란에서 월경까지의 황체기가 14일 간, 그래서 28일 주기로 월경이 반복되는 것입니다. 피임은 여성 호르몬을 조절해 배란을 억제하는 약! 왜 필을 마시면 월경주기를 늦출 수 있을까요? 피임은 난소에서 만들어진 호르몬과 거의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임을 먹는 것에 의해 "호르몬이 분비됐다 = 임신했다"로 뇌가 착각하는 것입니다.그러면, 이미 필요한 호르몬이 분비되고 있기 때문에 그 이상 호르몬은 분비되지 않는다. → 배란은 일어나지 않는다. → 생리를 하진 않는다 라고 하는 구조입니다. 호르몬 성분에 따라 먹는 수가 다르다.
1주기 중의 호르몬 양의 변화에 따른 분류 법이 있습니다. ◆ 1궁합 그 알약 21정 타입에서 모두 성분이 같은 것으로, 매일 정해진 시간에 1알씩 21일 간 매일 마십니다.약이 적기 때문에 생리일을 조정하기 위해 자주 사용됩니다. 마벨론, 요소M, 등등 ◆ 3상성 알약 호르몬 균형이 더 자연스러운 모양이 되도록, 3단계에서 변화하는 편이라 총 호르몬 양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8알에서 1시트로 되어 있습니다. 약으로는 21정 분인데 7개 위약(유효 성분이 없는 알약)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오 소파 777, 트라이디올, 트리큘러, 리비언, 안쥬, 노리닐, 심 페이즈, 등등 호르몬의 양에 따른 분류도 있다. 호르몬의 양의 차이는, 피임을 하고 싶은가?, 단순히 생리 주기를 늦추고 싶은가?, 처방하는 것이 달라지는 것 같습니다. 저용량 피임약 에스트로겐(난포 호르몬)의 양이 50μg 미만에서 30~40μg의 물건이 많습니다.1999년에 인가되어 현재의 경구 피임 약의 주류가 되고 있습니다. 시트 단위의 처방이 되므로 21알 혹은 28정 단위로 받게 됩니다. 중용량 필 에스트로겐의 양이 50μg의 것. 몇년전까지만 해도 이것이 보급되어었습니다. 의사에게도 달려있지만 필요량만큼 처방이 많은 것 같습니다. 고용량 필 중용량 필보다 더 에스트로겐을 필요할 때 처방받는 것.에스트로겐의 양은 50μg 이상입니다. 마시는 기간이 길어질 경우에는 몸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 저용량 필이 처방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네요. 우리나라는 피임약에대해 이미 여성의 상식 다른나라에 비해 많이 뒤쳐져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올바른 정보가 침투되어 있지 않으며, 확실한 근거도 없이 피임약에 대한 마이너스 이미지가 강한 것 같습니다. 살이 찐다, 부작용이 무섭다. 등등 의사가 임신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인지되고 있으며 생리통이나 PMS를 완화하는 등 피임 방법 뿐만 아니라 여성의 부진 개선을 지원하는 것으로서 대중적인 존재로써 보급률이 40%를 넘는 나라도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1~3%로 합니다. 피임 뿐만 아니라 어떤 약일지라도, 설령 감기약이라도 의사의 지시에 따르지 않고 잘못된 복용을 하면 부작용이 위험은 있으며, 의도한 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피임약도 같은 것으로, 호르몬을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사의 지시대로 마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전에 잘 대화하고 체질적으로 마셔도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괜히 불안해할 필요는 없습니다.